지자체·공공기관 보험유치 구슬땀

신규 가입·재계약 시점따라 입찰 속속 참여

이재호 기자 | 기사입력 2023/03/13 [00:00]

지자체·공공기관 보험유치 구슬땀

신규 가입·재계약 시점따라 입찰 속속 참여

이재호 기자 | 입력 : 2023/03/13 [00:00]

  © 게티이미지뱅크


[보험신보 이재호 기자] 손해보험사들이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의 보험유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2023년도 예산책정이 완료됨에 따라 신규 가입 및 재개약 시점이 도래했기 때문이다.

 

현재 각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최저가격입찰 형태로 시민안전보험, 단체상해보험, 자동차보험, 화재보험 등의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1~2월 중 해당 연도 예산책정이 확정되면 보험가입에 나서기 때문에 손보사의 입장에서는 상당히 큰 기회다. 

 

지자체의 시민안전보험의 경우 전국 243개 지자체 중 97.5%(237개)가 가입하고 있다. 손해율도 보장범위 확대와 시민안전보험가입 홍보로 보험금 지급신청이 늘어나면서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지만 아직까지는 안정적이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의 집계에 따르면 시민안전보험의 손해율은 2019년 20%대에서 2022년 상반기에는 60%대로 상승했다.

 

그러나 행안부가 보장범위는 최대로 늘리고 보험료 인상은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 복병이기는 하지만 손보사의 입장에서는 쉽게 포기하기 힘든 시장이다. 

 

단체상해보험도 마찬가지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은 일반 기업체보다 사고 발생율이 낮다. 이로 인해 보험사는 물론 공제기관들도 계약유치에 뛰어들면서 가격경쟁이 심화됐다.

 

다행히 지난 2020년부터 높아지는 손해율을 감당하기 어려워지면서 가격경쟁이 사라졌다. 아직까지는 손해율이 90%대로 높지만 지속 하락하고 있어 매력적인 시장으로 다시 떠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건물 등의 화재보험 등도 경쟁이 치열하다.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경우 방재가 잘 돼 있다보니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다만 상당수의 지자체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한국교육시설안전원 등의 공제상품에 가입하는 경향이 있어 우량물건을 찾는 것이 관건이다. 이밖에 자동차보험이나 드론보험 등도 손보사들이 적극적으로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공공기관 물건은 전문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기간 관련 상품을 운영해온 보험사가 대부분 재계약에 성공한다”며 “단체상해보험 등 다른 계약들은 보험사는 물론 공제기관과도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jhlee@insweek.co.kr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신상품
KB손해보험, 'KB다이렉트 드론 배상책임보험' 출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